본문으로 바로가기 대메뉴로 바로가기 바닥글 바로가기

데 있는 방안전
통계로 보는 2019년 소방안전

옛 소련의 철인 이오시프 스탈린은 이렇게 말했다. “한 명의 죽음은 비극이지만 백만 명의 죽음은 통계이다.” 자신의 권력 독점을 위해 200만 명을 숙청한 비정한 독재자지만 그가 통계를 바로 보는 관점만은 매우 명확하다. 화재 사건은 피해자에게 돌이킬 수 없는 고통이고 절망이다. 하지만 ‘빅데이터’라는 정보의 바다에서 발췌한 유의미한 통계는 미래의 고통과 절망을 대비하는 소화기가 될 수 있다.

피해의 밀도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 10년간의 화재발생 건수의 추이를 보면, 2008년 4만9,631건으로 정점을 찍은 이래 점진적으로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최근 2017년부터 올해까지 안정적인 하향세를 보이고 있어 고무적이다. 지난 한해 총 화재발생 건수는 4만99건으로, 하루 평균 110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이는 2018년도에 비해 5.29% 감소한 것으로, 하루 평균 6건의 화재가 줄어들어 적지 않은 감소폭임을 알 수 있다.

화재발생 건수가 전반적으로 하향세인 반면 피해현황에는 부정적인 요소가 있다. 화재발생으로 인한 인명피해가 큰 변동이 없는 가운데 재산피해가 3년째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다. 화재발생 건수는 줄어든 반면 피해액이 늘어났다는 것은 화재의 규모와 밀도가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와 산업이 고도화·집중화되고 있기에 당연한 경향이기도 하지만 대형화재가 늘어났거나 초기진압에 실패했을 개연성이 있다.

좀 더 자세히 보자면, 2019년 화재로 인한 사상자는 지난해에 비해 약 3%(76명) 줄어 2,518명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상자가 2,234명으로 전년대비 0.4% 증가한 반면 사망자는 369명에서 284명으로 23%(85명)나 감소한 것이 긍정적이다. 2018년 1월 39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밀양 세종병원 화재를 제외하더라도 14% 가량 감소한 수치다. 우리나라의 인구 10만 명당 화재 사망률은 0.6명으로 미국의 1.0명, 일본의 1.2명에 비해 낮은 편이다.

반면 재산 피해는 크게 늘었다. 2017년 처음으로 5,000억원을 넘어서더니 2018년 5,597억원에서 2019년 8,099억원으로 45%가량 치솟았다. 강원 동해안지역 산불피해액 1,440억원, 서울 중구 신당동 제일평화시장화재 피해액 716억원, 울산 동구 방어동 선박화재 피해액 560억원 등의 대형 화재가 주요 증가 원인이지만 10년 사이 3배 이상 피해액이 증가했다는 것은 화재 예방과 초기 진압에 사회적 자원을 더욱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화재피해로 발생하는 사회적 부담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접근법임을 시사한다.

화재 = 인재 = 부주의 ≒ 예방가능

2019년 발생한 화재의 주요원인으론 부주의가 전체의 50.2%(20,143건)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다음으론 전기적 요인이 23%(9,465건)로 그 뒤를 이었다. 부주의에 의한 화재는 그 비중이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10년 사이에도 별다른 개선이 없어 이에 대한 사회적인 경각심이 필요하다.

화재발생 장소는 주거시설이 27.6%(11,059건)로 산업시설의 13.5%(5,428건)보다 2배 이상 많았다. 특히, 2019년 한해 발생한 화재 사망자 284명 중 주거시설에서 56%인 159명이 사망했다. 이는 주거시설이 비주거시설보다 화재가 3배 이상 적게 발생했음에도 사망자는 3배 이상 많이 발생해 사망자 집중도가 9배 이상임을 말하고 있다.

이를 종합해보면, 가정에서 부주의로 인해 발생하는 화재에 대해 각별히 예방하고 대처하는 것이 화재로 인한 재산손실과 인명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우리 사회에서 신속한 대피가 어려운 노인들은 화재로 인한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실제 지난해 화재 사망자 중 65세 이상의 노인은 전체 사망자의 42.6% 달해 화재 사망률이 2배 이상 높았다.

이에 주거시설 화재에 대한 인식 개선은 물론, 주택용 소방시설 보급을 보편화해 가정에서의 화재예방에 사회적 힘을 모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단독주택은 화재 발생에 취약하므로 주택화재경보기를 설치하고 각 세대마다 소화기를 꼭 비치토록 해야 한다. 공공주택에선 평상시 비상탈출구를 미리 파악하여 돌발 상황 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글. 최호철(소방안전플러스 편집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