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폐소생술

갑자기 환자가 발생했을 때 응급처치 요령

어느 누구나 언제 어디에서 돌발사고와 질환에 의해 생명이 위험에 빠지는지를 알지 못한다.
갑자기 환자가 발생했을 때 의사의 치료를 받을 수 있기 전 주위에 있는 사람과 상호 협력하여 생명을 구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적절한 응급처치 요령을 숙지해 두어 조치를 선행함으로서 상태의 악화를 방지하고 생명을 유지시켜주는 최선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심정지 확인

먼저 환자의 양쪽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큰 목소리로 “여보세요, 괜찮으세요? 눈 떠 보세요.”라고 소리친다. 환자의 몸 움직임, 눈 깜박임, 대답 등으로 반응을 확인하고(심정지-무반응), 동시에 숨을 쉬는지 또는 비정상 호흡을 보이는지 관찰한다(심정지-무호흡 또는 비정상 호흡). 반응이 없더라도 움직임이 있거나 호흡을 하는 경우는 심정지가 아니다.

도움 및 119신고 요령

환자의 반응이 없으면 즉시 큰 소리로 주변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주변에 아무도 없는 경우에는 즉시 스스로 119에 신고한다. 만약 주위에 자동제세동기가 비치되어 있다면 자동제세동기를 함께 요청한다.

가슴압박 30회 시행

먼저 환자의 가슴 중앙에 깍지 낀 두 손의 손바닥 뒤꿈치를 댄다. 손가락이 가슴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양팔을 쭉 편 상태에서 체중을 실어서 환자의 몸과 수직이 되도록 가슴을 압박한다. 가슴압박은 성인에서 분당 100~120회의 속도와 가슴이 5-6 cm 깊이로 눌릴 정도로 강하고, 빠르게 압박한다. 또한 ‘하나’, ‘둘’, ‘셋’, ---, ‘서른’하고 세어가면서 시행하며, 압박된 가슴은 완전히 이완되도록 한다.

인공호흡 2회 시행

인공호흡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환자의 머리를 젖히고, 턱을 들어 올려서 환자의 기도를 개방시킨다. 머리를 젖혔던 손의 엄지와 검지로 환자의 코를 잡아서 막고, 입을 크게 벌려 환자의 입을 완전히 막은 뒤에 가슴이 올라올 정도로 1초 동안 숨을 불어넣는다. 숨을 불어넣을 때에는 환자의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지 눈으로 확인한다. 숨을 불어넣은 후에는 입을 떼고 코도 놓아주어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인공호흡 방법을 모르거나, 꺼려지는 경우에는 인공호흡을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가슴압박만을 시행한다(가슴압박 소생술).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반복

이후에는 30회의 가슴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119 구급대원이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반복해서 시행한다. 다른 구조자가 있는 경우에는 한 구조자는 가슴압박을 다른 구조자는 인공호흡을 맡아서 시행하며, 심폐소생술 5주기(30:2 가슴압박과 인공호흡 5회)를 시행한 뒤에 서로 역할을 교대한다.

회복자세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계속 반복하던 중에 환자가 소리를 내거나 움직이면, 호흡도 회복되었는지 확인한다. 호흡이 회복되었으면, 환자를 옆으로 돌려 눕혀 기도(숨길)가 막히는 것을 예방한다. 그 후 계속 움직이고 호흡을 하는지 관찰한다. 환자의 반응과 정상적인 호흡이 없어지면 심정지가 재발한 것이므로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즉시 다시 시작한다.

※ 출처 : 대한심폐소생안전원
전원켜기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는 반응과 정상적인 호흡이 없는 심정지 환자에게만 사용하여야 하며, 심폐소생술 시행 중에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가 도착하면 지체 없이 적용해야 한다.

먼저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를 심폐소생술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놓은 뒤에 전원 버튼을 누른다.

두개의 패드 부착

패드 1 : 오른쪽 빗장뼈 바로 아래
패드 2 : 왼쪽 젖꼭지 옆 겨드랑이


패드 부착부위에 이물질이 있다면 제거하며, 패드와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 본체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연결한다.

심장리듬 분석

“분석 중…”이라는 음성 지시가 나오면, 심폐소생술을 멈추고 환자에게서 손을 뗀다.

심장충격(제세동)이 필요한 경우라면 “심장충격(제세동)이 필요합니다”라는 음성 지시와 함께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 스스로 설정된 에너지로 충전을 시작한다.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의 충전은 수 초 이상 소요되므로 가능한 가슴압박을 시행한다. 심장충격(제세동)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심폐소생술을 계속하십시오”라는 음성 지시가 나온다. 이 경우에는 즉시 심폐소생술을 다시 시작한다.

제세동 시행

심장충격(제세동)이 필요한 경우에만 심장충격(제세동) 버튼이 깜박이기 시작한다. 깜박이는 심장충격(제세동) 버튼을 눌러 심장충격(제세동)을 시행한다.

심장충격(제세동) 버튼을 누르기 전에는 반드시 다른 사람이 환자에게서 떨어져 있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하여야 한다.

즉시 심폐소생술 다시 시행

심장충격(제세동)을 실시한 뒤에는 즉시 가슴압박과 인공호흡 비율을 30:2로 심폐소생술을 다시 시작한다.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는 2분마다 심장리듬 분석을 반복해서 시행하며, 이러한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의 사용 및 심폐소생술의 시행은 119 구급대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지속되어야 한다.

※ 출처 : 대한심폐소생안전원
CPR Song 뮤직비디오(세종시 소방본부 제작)

심폐소생술 방법을 음악으로 표현한 CPR song을 소방관들이 재미있는 뮤직비디오로 만든 영상물

영상보기

심폐소생술(CPR)

심장이 멎고 4~6분이 경과하면 산소부족으로 뇌가 손상되어 뇌사상태가 되거나 사망하게 됩니다. 따라서 호흡과 맥박이 없으면 즉시 심폐소생술을 실시해야만 치명적인 결과를 막을 수 있습니다.

영상보기

성인기도폐쇄

떡이나 젤리 등을 먹다가 기도에 걸리면 ,숨을 쉴 수 없게 되어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됩니다. 이때, 공기가 폐까지 잘 들어갈 수 있도록 기도를 열어주는 것은 가장 중요한 응급처치입니다.

영상보기

소아기도폐쇄

소아는 성인보다, 기도폐쇄가 더 쉽게 발생할 수 있고 , 호흡곤란을 잘 표현하지 못합니다. 음식물, 사탕, 동전등에 의해 기도가 막힌 경우 실시합니다.

영상보기

지혈방법

일반적인 성인은 약 1리터이상의 피를 흘리게 되면 생명이 위험합니다. 적절한 지혈을 하게 되면 대부분의 출혈은 멈추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지혈은 주용한 응급처치입니다.

영상보기

경추척추 고정법

자동차사고, 추락, 운동경기, 관통상, 전기에 의한 손상 등으로 많이 발생하며, 손상 초기에 적절한 고정을 해야만 사지마비나 사망을 막을 수 있습니다.

영상보기

골절환자 고정법

가장 흔하게 발생되는 외상이지만 직접 생명에 영향을 주는 경우는 드뭅니다.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경우에는 우선 심폐소생술을 실시한 후 골절처치를 합니다.

영상보기

화상환자 응급처치

화상이 더 진행되지 않도록 조치(그을린 의복 제거 등)하고 찬물로 화상부위를 충분히(30분이상) 식혀준 뒤, 감염예방(소독, 거즈, 화상거즈로 덮는다)을 합니다.

영상보기

※ 자료출처 : 소방청, 서울소방재난본부, 경기소방재난본부

페이지 로딩중